식품가공학과100세 시대 건강을 책임지는 식품가공 전문인력 양성
전공소개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창조하는 식품가공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식품가공학과의 교육목표에 맞추어, 본 학과는 “식품가공에 대한 심화된 이론교육(가공식품의 제조 원리, 공정, 제품의 저장, 품질관리, 위생관리 등)과 실무교육(실험실습, 실무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및 현장실습 등)을 통해 식품에 대한 전문성과 도덕적 윤리관이 투철한 식품가공 전문인력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목표와 특성
식품가공학은 식품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전, 공학적인 면을 고려한 각종 가공식품을 포함하여 발효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원리, 공정, 제품의 저장, 품질관리 등을 탐구하여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간편하며 우수한 영양과 기능성을 갖는 양질의 식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21세기의 식품산업과 국민건강을 책임지는 전문인력을 배출하기 위해서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는 이론, 실험 및 현장실습을 통하여 교육하며, 이를 바탕으로 식품업체 및 식품연구소, 호텔조리, Food stylist, 식품관련 공무원, 대형식품유통업체, 병원연구원, 항공서비스, 제약회사 등에 진출하여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학과(전공) 특별 프로그램
- 비교과 과정 운영: 산업계 요구를 반영한 고부가식품개발, 기기분석 및 위생/품질관리를 특성화 분야로 차별화하기 위한 전공 심화교육을 수행하고 있으며, 식품바이오 분야의 산업체 CEO들을 초빙하여 특화교육(교과명: CEO특강)을 실시함으로써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산업체의 애로기술 해결 및 문제해결을 위한 Project/Target 실무교육 등 비교과 과정 운영 활성화를 통한 산업체 실무교육 강화에 힘쓰고 있다.
- K-Cloud 융합교육인증 모델[(1) 웰빙건강바이오, (2) 웰빙식품바이오, (3) 바이오헬스케어 모듈]: 식품바이오특성화사업에 참여하였던 식품가공학전공(8과목), 공중보건학전공(5과목), 식품영양학전공(2과목) 및 식품가공학과, 공중보건학과를 중심으로 운영해온 웰빙바이오 연계전공 교과목 중에서 선택된 8과목을 포함한 총 23개 전공과목을 각 교과 모듈의 교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한다.
커리큘럼
- 1학년
- 식품학개론, 식품재료학, 일반화학,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 2학년
- 양조공학, 식품가공학, 식품가공학실험, 식품미생물학, 식품미생물학실험, 식품생화학, 기초유기화확, 웰빙음료학, 생화확개론, 보건영양과식품, Food and Health
- 3학년
- 발효식품학, 식용유지학, 식품화학(1), 식품화학(2), 영양대사학, 식품분석학 및 실험, 식품위생학 및실험, 식품포장학, 기능성식품학, 식품나노공학, 식품첨가물, 건강바이오통계, 식품물성학, 식품공학, 건강기능식품개발론, 식품가공학프로젝트
- 4학년
- 식품독성학, Understanding of English Journal for Food Science(1), 식품저장학, 졸업논문, 자연과학캡스톤디자인, 학과영어저널의 이해(2), 식육가공학, 식품효소학, 식품안전과품질관리
식품가공학과의 중요성
식품가공학은 식품 즉 인류의 먹거리를 다루는 학문으로 인류의 역사에서 삶을 유지하고 즐거움을 주는 것 중에서 첫 번째로 중요한 요소이며, 식품가공학의 중요성은 아래의 7F로 요약될 수 있다.
-
1F먹거리, 식품(Foods)은 건강이다
-
2F간편하고 우수한 가공식품제조(Food processing)
-
3F식품소재 발굴을 통한 기능성식품(Functional ingredient) 제조
-
4F신비의 발효식품(Fermented Foods) 과학화 및 세계화
-
5F미래의 대체의학(건강기능식품, Functional Foods)으로서 식품
-
6F다양한 식품관련 사업(Food related business)을 제공하는 학문
-
7F식품디자인(Food design)이 요구되는 식품가공학